부동산을 매도하셨나요? 부동산을 매도했다면 양도소득세를 걱정하실 겁니다.
양도소득세는 안내는 경우도 있지만 차익이 많을 경우, 그 금액이 몇천만원까지 하기 때문에 금액적인 부담이 큰 세금 중 하나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매도를 통해 생기는 양도소득세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. 양도소득세 자동계산을 확인해보시고, 비과세 요건까지 체크해보셔서 스마트한 자금계획 세우시면 좋겠습니다.
▼ ▼ ▼
▼ ▼ ▼
양도소득세란
양도소득세란 소득세법 제105조에 따라 매년 1월 1일에서 12월 31일간 기간에 부동산 등을 양도한 경우, 양도한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양도소득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.
예를 들어 부동산을 올해 9월 5일에 매도했다면 세금 신고 및 납부 기한은 올해 11월 30일 까지입니다.
만약 차익이 아닌 손해를 보았다면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될까요? 정답은 양도 차익이 없거나 차손이 발생했더라고 그 금액과 상관없이 양도소득세 신고는 해야 합니다.
때문에 부동산 매도로 금액적 이익을 보았든 안보았든 반드시 양도소득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한다는 점 명심하시길 바랍니다.
▼ ▼ ▼
취득세율표(+1주택자 주택가별 취득세율 Check!)
부동산 구매를 계획하고 계신가요? 부동산 매매를 진행한다면 취득세율이 궁금하실 겁니다. 취등록세는 집값이 많이 높아진 상황에서 취득세만 해도 적게는 몇백만원에서 크게는 몇천만원까
info.baby-mansae.com
양도소득세 차액 계산
양도소득세에 대한 금액은 아래 순서에 따라 계산됩니다. 이는 소득세법 제107조에 근거한 것으로 자동계산이 편리하지만 아래 금액 계산내용을 아시는 것도 중요합니다.
양도차익: 양도차익은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과 기타 필요경비를 더한 값을 뺍니다.
▶양도차익: 양도가액-(취득가액+기타필요경비)
만약 보유기간이 3년이상 됐다면 양도차익에서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을 제하시면 됩니다.
양도소득금액: 양도차익-장기보유특별공제액
과세표준은 양도소득금액에서 기본공제를 빼면 됩니다.
과세표준: 양도소득금액-기본공제(자산별 연 250만 원)
산출세액은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곱하시면 됩니다. 상세한 세율은 아래 표에서 확인 바랍니다.
결정세액은 산출세액에서 감면세액과 세액공제를 더한 값을 빼면 됩니다.
결정세액: 산출세액-(감면세액+세액공제)
마지막으로 위 계산을 통해 납부할 세액기 결정됩니다. 납부할 세액은 결정세액에서 이미납부한 세금이 있다면 그 금액을 빼주시면 됩니다.
▼ ▼ ▼
취득세율 감면 대상(+취득세 등록세 계산기)
취득세는 말 그대로 자산을 취득할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 부동산뿐만 아니라 각종 차량 회원권등에 매겨지는 세금으로세금 종류로 따지면 지방세입니다. 보통의 경우, 집을 매매하시는 분들
info.baby-mansae.com
양도소득세율표
양도소득세 산출세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양도소득세율표를 통해 세율을 확인해야 합니다. 만약 부동산을 매도하여 금액적 이익을 보았다면 8구간에 따라 소득세가 결정됩니다.
기본적으로 1400만원 이하라면 6%를 내야 하며, 10억원을 초과한 경우 45%의 세율이 적용됩니다. 각 세율뿐만 아니라 각 국나에 따른 누진공제액이 있으니 이 부분을 꼭 체크하시길 바랍니다.
누진공제액은 이익이 일정 수준일 때, 그 구간 이상의 금액에 대해서는 더 높은 금액의 세율을 적용하는 것 입니다.
차익 | 세율 | 누진공제액 |
---|---|---|
1,400만원 이하 | 6% | x |
5,000만원 이하 | 15% | 126만원 |
8,800만원 이하 | 24% | 576만원 |
1.5억만원 이하 | 35% | 1,544만원 |
3억원 이하 | 38% | 1,994만원 |
5억원 이하 | 40% | 2,594만원 |
10억원 이하 | 42% | 3,594만원 |
19억원 초과 | 45% | 6,594만원 |
상속세 면제 한도액 확인하기(자녀 및 배우자 상속)
상속세는 재산을 물려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금으로, 이는 상속 재산의 규모와 종류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. 상속세는 많은 사람들에게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로 여겨질 수 있지만, 면제
info.baby-mansae.com
'정책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속도로 통행료 미납조회(+콜센터 및 조회가능 민자 도로 확인!) (0) | 2024.10.12 |
---|---|
제철음식 가을편(10월 제철음식 TOP5) (0) | 2024.09.30 |
취득세율표(+1주택자 주택가별 취득세율 Check!) (0) | 2024.09.26 |
취득세율 감면 대상(+취득세 등록세 계산기) (0) | 2024.09.26 |
입추 날짜 의미(+입추 건강관리) (0) | 2024.08.06 |